자격증/리눅스마스터 1급 7

📑 리눅스 마스터 1급_3과목_CH7.네트워크 서비스

CH.7 네트워크 서비스 1. 웹 관련 서비스 1-1. 웹 관련 서비스의 이해 ※ 웹(Web)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마크업 언어 HTTP 프로토콜이 사용되고 W3C에서 주관하여 개발 주요 웹 브라우저 종류 chromium : 구글 크롬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브라우저. 속도가 빠르고 다양한 플러그인이 존재한다. FireFox : 모질라 재단에서 개발한 게코 엔진 기반의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 Opera : 노르웨이에서 개발된 블링크 엔진 기반의 웹 브라우저 Safari : 애플에서 개발한 Webkit 엔진 기반의 웹 브라우저. IOS를 위한 브라우저이다.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에서 웹 페이지..

📑 리눅스 마스터 1급_2과목_CH6.시스템 보안

CH.6 시스템 보안 1. 시스템 분석 1-1. 시스템 로그 분석 ※ 시스템 로그 파일 종류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는 /var/log 디렉토리에서 시스템의 모든 로그를 기록하고 관리한다. 로그들은 (r)syslogd에 의해서 관리되며, /etc/syslog.conf 파일에서 로그 파일의 저장 위치와 저장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시스템 로그 / 관련 명령어 정리 로그명 내용 로그 경로 명령어 기타 utmp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 /var/run/utmp finger, w, who 바이너리 파일이므로 명령어를 통해 확인 wtmp 성공한 로그인 / 로그아웃, 시스템 boot / shutdown 정보 /var/log/wtmp last, last -F 바이너리 파일이므로 명령어를 통해 확인 lastlo..

📑 리눅스 마스터 1급_2과목_CH5.장치관리

CH.5 장치 관리 1. 장치의 설치 및 관리 1-1. 장치의 설치 및 관리 ※ /proc 디렉터리 내 주요 파일 /proc/partitions :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정보를 저장 /proc/cpuinfo : CPU 정보를 저장 /proc/devices : 현재 시스템이 사용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 /proc/filesystems : 커널이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저장 /proc/meminfo : 시스템 메모리 정보를 저장 /proc/swaps : 스왑 공간 관련 정보를 저장 /proc/mdstat : RAID나 중복 디스크에 대한 정보를 저장 ※ /dev 디렉터리 내 주요 파일 /dev/Ip* : 프린터 장치 /dev/hd* : IDE 드라이버, ATA 드라이버 등 /dev/sd* : SCS..

📑 리눅스 마스터 1급_2과목_CH4.일반운영관리

CH.4 일반 운영 관리 1. 사용자 관리 1-1. root 사용자 관리 ※ su 명령어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명령어 주요 옵션 [-] : 전환하는 사용자의 초기화 파일을 실행 # su - root => root의 환경변수를 적용하고 실행 [-c] : 계정 변환 없이 특정 명령어만 실행 (sudo 명령어와 같은 기능) # su -c 'cat /etc/passwd' - root => root 권한으로 해당 명령을 실행 su 명령어로 사용자 전환 후의 위치는 동일 ※ root 계정 관리 root 계정의 UID 값은 0이다. root 이외에 UID가 0인 사용자가 없도록 해야 한다. TMOUT 환경 변수를 사용해 일정 시간 미사용시 로그아웃 되도록 설정하여 보안을 강화한다. 사용자 인증 모듈인 PAM을 이용..

📑 리눅스 마스터 1급_1과목_CH3.네트워크의 이해

CH3.네트워크의 이해 1. 네트워크 기초 1-1. OSI 7계층 ※ OSI 7계층 요약 계층 특징 데이터 단위 프로토콜 1 물리 (Physical) 물리적 연결 설정 비트 스트림 (Bit Stream) 2 데이터링크 (Data Link) 오류제어, MAC 주소 사용 프레임 (Frame) ppp 3 네트워크 (Network) 라우팅 패킷 (Packet) IP, ICMP, IGMP, ARP 4 전송 (Transport) 데이터 전송 보장 흐름 제어 세그먼트 (Segment) TCP, UDP 5 세션 (Session) 동기화, 세션 연결/관리/종료 메시지 (Message) 전송 모드 결정 6 표현 (Presentation) 압축, 암호화 ASCII 7 응용 (Applicationw) 각종 응용 서비스 제공 ..

📑 리눅스 마스터 1급_1과목_CH2.리눅스 시스템의 이해

CH.2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 1. 리눅스와 하드웨어 1-1. 하드웨어의 이해 1-2. 하드웨어의 선택 ※ RAID (Reb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분류 RAID 0 : 스트라이핑 기능(분배 기록) 사용, 빠른 입출력 성능, 고장 대비 능력이 좋지 않음 RAID 1 : 두 개 이상의 디스크를 미러링을 통해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한다. RAID 2 : ECC(에러 검출 기능) 탑재 RAID 3 : 하나의 디스크를 에러 검출을 위한 패리티 정보 저장용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디스크에 데이터를 균등하게 분산 저장한다. RAID 4 : RAID 3과 같은 방식이지만 블록 단위로 분산하여 저장한다. RAID 5 : 하나의 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분산 저장 (회전식 ..

📑 리눅스 마스터 1급_1과목_CH1.리눅스의 개요

CH.1 리눅스의 개요 1. 운영체제의 개요 1-1. 운영체제의 이해 ※ 운영체제(사용자와 하드웨어의 중간 매개체)의 주요 역할 하드웨어 제어, 사용자들 간에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하게 해준다. 스케줄링을 통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입출력을 용이하게 한다.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거나 복구한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운영체제의 유형 다중 교환 (Multi-Switching) : 다수의 작업이 동시 실행. foregroud 프로그램에서만 동작한다. 단일 작업 (Single-Tasking) : 한 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한다. 다중 작업 (Multi-Tasking) :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한다. 다중 사용자 (Multi-User) : 단일 프로세서에서 여러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