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2에는 점심시간에 점심을 먹고 짧게 진행상황 확인만 하면서 오늘할 회의 내용을 정리했다. 프로젝트 이름을 하나씩 생각해보는 것과 각자 유즈케이스 다이어그램을 하나씩 작성해오는 것이 목표였는데, 프로젝트 이름은 너무 촌,,,스러워서 하루만 더 고민해보기로 했고, UML은 한 팀원이 엄청 열심히 준비해 주어서 다함께 약간의 보완을 거친 후에 다음과 같은 UML을 완성했다. [ UML ] 간단하게 앞으로 개발할 웹 페이지를 Top-Down방식으로 설계를 했다. 크게 한 페이지 단위로 설계를 하고, 세부 기능들을 추가해가면서 모듈을 추가할 예정이다. 기능을 기준으로 나눈 단위는 다음과 같다. 로그인/회원가입(소셜 로그인 api) 메인 페이지(모든 사용자) 마이 페이지(로그인 한 사용자만) 학습 카드보면서 ..
ERD(Entity_Relation_Diagram)를 통한 테이블 구조 파악 릴레이션의 Join연산은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2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과정으로 순수관계연산자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Join연산은 ▷◁의 기호로 표시하며, 두 릴레이션 R과 S의 조인을 표기하는 표기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기 형식 : R▷◁(JOIN 조건)S 조인연산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계데이터베이스에서 각 개체들의 관계를 명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실상 DB를 직접 설계하고 구현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실질적으로 ERD를 설계하는 일은 없겠지만, 일반 개발자 입장에서는 DB로부터 적절한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서 설계된 ERD를 보고 이해하며, 코드화할 수 있는 기능은..